728x90
반응형

코로나 확진자 수가 이미

1,000만을 향해 달려라고 있습니다.

 

우뤼나라의 일일 확진자 수는 전세계 확진자 수의

약 31.8%에 해당할 정도로 많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래서 요즘 특히 불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정부가 방역에 실패했다고 욕하시는 분들도 참 많죠.

그런데 과연, 우리나라는 방역에 실패한 게 맞을까요??

 


 

우리나라는 정말 코로나 방역에 실패한걸까??

 

 

사실 국가별로 코로나 확산 종류와 대응 방안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일일 확진자수로 방역을 평가하는데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 방역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일 확진자수 보다는

누적 확진자수를 통한 통계 수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우리나라 누적 통계치를 살펴보면

인구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세계 14위이며

인구를 고려했을 경우 87위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여기에 누적 사망 인구까지 고려할 경우 151위에 해당하며

이는 상당히 낮은, 즉 방역에 잘 대처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방역 당국에서도 우리나라 같은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오미크론의 유행이 늦어 정점이 늦게 왔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코로나 대처 방안은

확진자의 수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중증과 사망을 최소화하는

것을 관건으로 두고 방역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확실히 오미크론의 전파 속도가

기존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만큼

물리적으로 확진을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판단,

중증/사망을 막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오미크론은 확진이 빠른 만큼

중증/사망 확률이 그만큼 낮은 것으로 보여지니까요.

 

실제 제 주변도 보면 정말 아차 하는 사이에

확진이 퍼져나가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코로나/오미크론 완치자는 슈퍼 면역자 일까??

 

 

백신을 접종하고 코로나/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람은

완치 이후 슈퍼 면역을 갖게 된다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래서 중증환자 보호자 같은 경우,

코로나에 걸린 이력이 있는 간병인을

구하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하네요ㄷㄷ

 

하지만,

과연 ‘슈퍼 면역’은 사실일까?

 

결과만 말씀드리자면

땡입니다!

 

오미크론도 이미 변이가 시작되고 있고

따라서 얼마든지 재확진을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슈퍼 면역이 존재하다고 보기 힘든 현실이죠..

 

한 연구에 따르면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경우

인간의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능력이 뛰어나 재감염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

따라서

확진 경험이 있는 분들도

재확진의 우려가 있으니 위생 관리를

잊지 말고 신경 써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본 게시글은 정책브리핑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